1월 ~ 12월 |
- 기관홍보
- 홈페이지 운영 - 온라인 네트워크
- SNS 페이지 운영
- 학산생활문화센터‘마당’운영
|
2월 ~ 12월 |
|
4월 ~ 12월 |
- 시민창작예술활동지원 - 마당예술동아리교육
- 지역을 기반으로 한 마당예술동아리 발굴 조직 12팀
- 마을이야기와 생활 속 이야기를 담은 주민공동창작 작품 12편
- 시민창작예술제 2019 학산마당예술‘놀래’12팀 참여
- 학산소극장 전문예술공연
- 학산가족음악회(8회)
: ‘문화가 있는 날’ 다양한 장르와 컨셉으로 진행되는 가족대상 상설음악회
- 학산어린이극(8회)
: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어린이들에게 웃음과 감동을 선사하는 상설공연
- 우리도예술가 - 시민에게 열린 무대(9회)
- 지역에서 활동하는 생활예술동아리에게 공연발표 지원
- 주민문화교류활동
- 新학산서원‘동양 고전 인문학 산책’ 강좌
- 동양 제가들의 이념탐색을 통한 인문학적 사유 확대 (인천사연구소 연계)(30회)
- 꿈다락 토요문화학교
- 예술놀이로‘도깨비와 친구 되기’(30회)
: 교육운영(놀이하는 예술 Play-Art Lab)/교육운영협력(미추홀학산문화원)/운영지원(인천문)
- 인문학 강좌‘과학, 인문과 공명하다’ (15회)
: 운영협력(미추홀학산문화원)/운영지원(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)
- 동네, 살아지다(미추홀구 재개발지역의 기억과 기록)
- 역사 및 사진 특강 (4회)
- 대형목판화 공동창작 및 개별 판화작업, 사진 콜라주 작업 (19회)
- 지역축제 연계전시 및 동네 전시
: 운영지원(지역문화진흥원)
|
5월 2일 |
- 열린집담회 ‘미추홀水다 川川이 승기천(承基川)으로’개최
|
5월 ~ 12월 |
- 주민과 함께 만드는 문화 웹진 학산문화예술@TV
- 블로그 운영, 웹진 발송 8회(일반호7회, 특별호1회)
- 마을지 '미추홀, 살아지다2 - 승기천을 기억하다' 마을기록
: 연계단체 (학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)
- 학산시민마당예술단
- 학산시민극단
: 중장년층 대상으로 공동창작 교육 ‘미추홀운전사’
: 공모사업 미추홀원천콘텐츠‘미추홀운전사’공연(문화가 있는날) (공연일 08.31/11.02/11.30)
- 학산어린이노래단
: 지역민요와 설화를 바탕으로 노래 창작 및 교육 / 공연활동
- 동네인형놀이단
: 지역기반 인형극 창작 교육 / 공연활동
- 지역특성화사업 - 민요현대화
- 토속민요 재창작 (6곡)
- 민요교육 및 녹음(4회)
|
8월 ~ 12월 |
- 미추홀지역학 강좌
- ‘미추홀길잡이’(16강)
: 미추홀구 역사문화 둘레길 이해를 통한
- 미추홀시민로드‘역사를 거닐다’(10강)
: 미추홀 역사의 시대별, 분야별 개관을 통한 시민교양강좌
- ‘미추홀 시민기록자’(10강)
: 시민기록의 가치와 방법 이해하기
|
11월 19일 ~ 23일 |
- 2019 학산마당예술‘놀래’/ 학산생활문화센터 ‘마당’ 전 층
: 주제‘미추홀수다’
- 마당예술동아리 경연마당 :12개 마당예술동아리 참여
- 마당예술동아리 경연마당 시상
: 총 5개 부문(작품상, 마당상, 공동창작상, 놀래상, 미추홀수다상)
- 주민 참여 기획전시‘동네,살아지다’展, 전문마당극, 주민창작 인형극, 생활동아리&전문공연팀 콜라보 공연,
주민활동가 문화체험 및 전시, 연극놀이 워크샵 및 주민참여 이벤트 등 진행
|
11월 ~ 12월 |
- 미추홀마을영화 ‘미추홀에서 꿈을 펼치다’ 제작
- 미추홀탐방 - 인문, 문화예술과 함께하는 우리동네탐방 (4회)
|
12월6일 ~ 7일 |
- 인천생활문화센터 협력사업 ‘우리만나’- 함께해요, 학산
|
12월 |
- 학산마당예술‘놀래’ - 마을판
- 지역마을축제 공연(2팀) / 학산소극장
- 미추홀구가족지원센터 연계 공연 / 용마루 공동육아나눔터(1팀)
- 학산어린이노래단 ‘지국총-동심의 바다’앨범 발매
|
12월 30일 |
- 마을지 ‘미추홀, 살아지다2 승기천을 기억하다’ 발행
- 미추홀이야기- ‘기억과 기록’ 개최
|